흙금이네 블로그

제56회 SQL 개발자(SQLD) 합격 후기 본문

후기/시험

제56회 SQL 개발자(SQLD) 합격 후기

흙금 2025. 4. 5. 23:21

공부 기간

 

2일(2025년 3월 중)

 

 

준비 과정

 

요즘 퇴사 후에 다시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한번 SQLD를 따려고 했었는데

당시에는 크게 필요를 느끼지 못했고

공부도 하는둥 마는둥 하다가 결국 떨어졌었습니다.

 

내 돈..

 

5만원인 검정수수료가 다소 부담이 있던 터라

나중에 여유가 있을 때 다시 응시해보자고 생각한 뒤로 벌써 2년 6개월이 흘렀습니다.

지금 같은 공백기에 자격증이라도 따는 게 나을 것 같아 다시 SQLD에 응시해보기로 합니다.

 

저는 평소에 SQL을 다루는 일은 거의 없고

가끔 코딩테스트 준비로 SQL 문제를 풀어봤었습니다.

예전에 잠깐 공부했던 내용들도 지금은 거의 다 잊어버린 상태입니다.

 

 

공부 과정

 

시험을 접수하긴 했지만

다른 일이 있어 공부를 거의 못(안)했습니다.

그렇게 시험 일주일 전에 3시간 정도 1과목을 공부하고는

그냥 운 좋으면 붙지 않을까 하는 도둑놈 심보로 시험 전날까지 버티고 있었습니다.

 

바빴던 다른 일이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고서야

검정수수료 5만원이 조금이라도 덜 아깝도록

시험 당일 새벽에 안 자고 6시간 정도를 더 공부했습니다.

 

SQLD 시험 과목은 총 2과목으로

1과목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와 2과목 SQL 기본 및 활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4년 시험부터는 출제 내용과 문제 방식이 조금 변경되었습니다.

 

SQLD 검정과목 변경 내용

 

SQLD 검정방법 변경 내용과 적용 시기

 

예전에는 주관식 단답형 문제가 있어서 까다로웠는데

2024년부터는 객관식 선택형으로만 50문항이 출제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저는 1과목은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일명 노랭이) 책으로 공부했습니다.
문제를 읽어보고 답을 잘 모르겠더라도 최대한 답을 유추해본 후 해설지를 보며 학습했습니다.

일단 문제를 풀어보자는 생각으로 노랭이 책(심지어 개정 전 내용)을 봤지만

교재 없이도 충분히 시험을 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과목은 개념 정리 자료를 보며 공부하려고 했으나

내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 기출 문제를 풀면서 학습했습니다.

 

 

Study with yuna🌷

JAVA 와 SQL 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yunamom.tistory.com

 

SQLD 기출 복원 문제를 볼 수 있는 블로그입니다.

저는 2024년 기출 문제들을 풀었는데 복원된 문제가 완전하진 않아서

풀 수 있을 정도로 복원된 문제만 풀고

그렇지 않은 문제는 용어 위주로 훑어봤습니다.

 

문제를 풀면서 모르는 용어나 내용은 ChatGPT에게 질문했습니다.

 

ChatGPT 질문 예시

 

종종 ChatGPT가 틀린 내용으로 답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한번씩 직접 검색하셔서 자료를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공부하다 보니 ChatGPT가 틀린 내용으로 답변하고 있는지를 대강 알 수 있었습니다.

 

 

[SQLD] 2024년 개정 SQLD 합격 후기, SQLD 개정판 개념정리 pdf 공유

[ 목차 ]1. SQLD 시험• 정보• 유의사항• 시험 후기2. 공부 방법• 교재• 추천 강의• 자료 및 웹사이트#. 개념정리 PDF 공유 SQLD 합격을 하게 되어, 준비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

bruders.tistory.com

 

SQLD 개념을 정리한 자료를 공유하는 글입니다.

 

저는 개념 정리 자료를 보기 전에 기출 문제부터 풀었는데

기출 문제가 풀리지 않더라도 계속 답을 보면서 내용을 학습했습니다.

문제를 풀다 보니 점점 문제에 대한 감이 잡히기 시작했고

그 이후에 개념 정리 자료를 보면서 암기했던 게 도움이 됐습니다.

 

 

시험 후기

 

시험 시간은 90분이 주어지며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0문항, SQL 기본 및 활용 40문항으로

총 50문제가 모두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나옵니다.

 

신분증은 필수인데 수험표는 없어도 괜찮습니다.

제가 응시했던 곳은 컴퓨터용 사인펜을 빌려줬는데

모든 고사장에서 빌려주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웬만하면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문제지와 답안지 모두 제출하기 때문에 들고 나올 수 없고

이후에도 문제와 정답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제출한 답안을 어느 정도 외우긴 했는데

보기 내용이 상당히 긴 경우도 있어 다 외우지는 못했습니다.

 

다른 응시자분들이 복원하신 문제로 가채점했을 때

잘 기억나지 않는 문제들을 제외하고 대략 60점 후반대 점수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1과목에서 많이 틀려 과락할 수도 있겠다는 걱정이 들었습니다.

 

시험을 치르고 약 3주 뒤에 사전점수가 발표되었고

그로부터 1주 뒤에 확정된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확정된 점수는 사전점수와 동일했습니다.

 

 

다행히 1과목에서 2문제 차이로 과락을 면했습니다.

시험 당일 새벽에라도 공부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과목은 과락을 피하기 위해,

2과목은 합격을 노리기 위해 충분한 점수를 얻어야겠습니다.


사실 이번에 합격할 수 있었던 건 운이 좋았던 게 컸고,

코딩테스트 대비를 위해 SQL 문제를 풀었던 경험과

그동안 알게 모르게 쌓인 기본적인 개발 관련 지식들 덕분이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 가장 효율적인 공부 방법은 ChatGPT를 활용한 기출 문제 풀이입니다.

합격을 위해서 하나의 어려운 내용을 깊게 공부하는 것보다는

쉬운 내용들을 가볍게 여러 번 훑어보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SQLD 시험이 많이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SQL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푸시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주 정도는 여유를 가지고 공부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