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금이네 블로그

[BOJ] 20300 - 서강근육맨 (Python, JavaScript) 본문

알고리즘

[BOJ] 20300 - 서강근육맨 (Python, JavaScript)

흙금 2023. 2. 16. 03:15

 

 

아이디어

 

각 운동기구의 근손실 정도를 정렬하여 차례로 작은 값과 큰 값의 합 중 가장 큰 값을 출력한다.

 

 

풀이 #1 (Python)

 

근손실 정도를 오름차순 정렬 후 T에 저장하고, N이 홀수인 경우 결과값 res에 가장 큰 값을 pop하여 저장한다.

for문에서 순서대로 작은 값과 큰 값의 합을 res와 비교하여 더 큰 경우 결과값을 갱신해 나간다.

 

N = int(input())
T = sorted(map(int, input().split()))
res = 0
if N%2:
    res = T.pop()
for i in range(N//2):
    if T[i]+T[-(i+1)] > res:
        res = T[i]+T[-(i+1)]
print(res)

 

 

 

풀이 #2 (JavaScript)

 

풀이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만 입력으로 주어지는 근손실 정도가 최대 10^18(1,000,000,000,000,000,000)으로 주어지는데,

이는 Number 자료형 범위의 최댓값인 2^53-1(9,007,199,254,740,992)을 벗어나므로 BigInt 자료형으로 값을 저장한다.

 

sort 메서드에서는 삼항 연산자로 a가 더 큰 경우 b를, 그렇지 않으면 a를 더 낮은 인덱스로 하여 오름차순 정렬한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const N = +input[0];
let T = input[1].split(' ').map(BigInt).sort((a, b) => BigInt(a) > BigInt(b) ? 1 : -1);
let res = 0;
if (N%2) res = T.pop();
for (let i=0; i<Math.floor(N/2); i++) {
    if (T[i]+T[T.length-(i+1)] > res) res = T[i]+T[T.length-(i+1)];
}
console.log(String(res));

 

Comments